2023년 현재 2주간(7.3일 ~ 7.14일)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신청받고 있습니다.
어떤 상품이고 누가 어떻게 신청 할 수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란?
현 정부가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해 만들어낸 정책형 금융 상품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같습니다.
-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납입 가능
- 최대 5,000만원까지 만들 수 있는 만기 5년의 청책형 금융 상품
- 2023년 6월 출시 ,상시가입이 아닌 매월 가입 신청(별도기간 공고, 약 2주)
- 개인소득,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한 만19~34세 청년대상
- 정부 지원 사업으로 예산이 정해져 있음(소진하면 해당 년도 사업 종료)
- 청년희망적금 가입자의 중복가입은 불가(적금 만기 이후 청년도약계좌 순차적 가입 가능)
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2023년 청년희망적금 신청 및 가입
[그림] 2023년도 '청년희망적금' 대상자 및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청년희망적금 이란? 만 19세 ~ 만 24세 청년이 가입 가능한 정부에서 지원하는 정책 금융상품입니다. 다음과 같은
ihaveto.co.kr
2023년 청년내일처축계좌 신청 및 가입
[그림] 코로나 19 장기화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 청년월세를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정부 정책입니다. 지원대상 만 19~24세 이하 부모님과 별도 거주하고 있는
ihaveto.co.kr
가입 대상
청년이라고 해서 모두 가입한 것은 아니고 직전년도('22.1~12월) 소득이 있고
개인소득, 가구소득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개설일 기준 만 19~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.
'22년도 취업에 성공한 사회 초년생 부터 가입이 가능 하겠네요.
소득조건(개인소득 & 가구소득) 충족 + 대상자조건(개설일 기준 만 19~34세청년)
소득 요건
개인소득의 경우 총급여기준 7,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기준 6,300만원 이하 이며, 소득 구간에 따라 '정부 기여금'의 지급한도가 차이가 있습니다. (관련 내용은 지급구조에서 상세히)
직전 과세기간('22.1 ~12월) 기준
총급여 7,500만원 이하
종합소득 6,300만원 이하
가구소득의 경우 신청자 포함 가구원 소득의 합이 '보건복지부 고시 기준 중위소득'의 180% 이하를 충족 해야 합니다.
- 가구원은 신청자의 주민등록등본에 기재된 배우자,부모,자녀, 미성년 형제·자매
- 가구원 판단시 예외사례등 가구소득 확인 세부사항은 '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(클릭)'
<‘22년도 기준 중위소득(보건복지부 고시)>
구분 | ‘22년 기준 중위소득 | |
180%(월, 만원) | ||
1인가구 | 1,944,812 | 3,500,661 |
2인가구 | 3,260,085 | 5,868,153 |
3인가구 | 4,194,701 | 7,550,461 |
4인가구 | 5,121,080 | 9,217,944 |
5인가구 | 6,024,515 | 10,844,127 |
개인소득, 가구소득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본인 및 가구원의 소득조회를 얻어 비대면으로 확인 되어 집니다.
지급구조 (최대 5,000 만원 비과세)
가입 자의 납입금과, 정부의 기여금, 그리고 은행이자를 더해 최대 5,000만원 까지 목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.
단, 가입자의 소득구간에 따라 '정부 기여금'과, 금리의 차이가 있습니다.
총급여 6,000만원 초과 7,500만원 이하의 경우 정부기여금없이 비과세로 적용 받습니다.
총급여 6,000만원 이하
최대 5,000만원(비과세) = 본인 납입금(월 최대 70만원) + 정부기여금 + 은행 이자
총급여 6,000만원 초과 7,500만원 이하
최대 5,000만원(비과세) = 본인 납입금(월 최대 70만원) + 은행 이자
<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지급 기준>
개인소득
|
월 기여금 지급한도
|
기여금 매칭비율
|
월 기여금 한도
|
|
총급여 기준
|
종합소득 기준
|
|||
2,400만원 이하
|
1,600만원 이하
|
40만원
|
6.0%
|
2.4만원
|
3,600만원 이하
|
2,600만원 이하
|
50만원
|
4.6%
|
2.3만원
|
4,800만원 이하
|
3,600만원 이하
|
60만원
|
3.7%
|
2.2만원
|
6,000만원 이하
|
4,800만원 이하
|
70만원
|
3.0%
|
2.1만원
|
7,500만원 이하
|
6,300만원 이하
|
-
|
<청년도약계죄 예시>
![]() |
![]() |
가입 신청
아래의 시중은행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개인 및 가구원의 소득조건 충족 여부를 확인 후 가입 신청에 대한 안내가 진행 됩니다. 정부기여금, 은행 금리 외 은행별 우대금리가 적용될 수 있으니 비교 가입하면 좀 더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.
< 은행별 대표 콜센터 >
기관명 | 연락처 | 기관명 | 연락처 |
국민은행 | 1588-9999 | 부산은행 | 1588-6200 |
신한은행 | 1577-8000 | 대구은행 | 1566-5050 |
하나은행 | 1588-1111 | 광주은행 | 1588-3388 |
우리은행 | 1588-5000 | 전북은행 | 1588-4477 |
농협은행 | 1661-3000 | 경남은행 | 1600-8585 |
기업은행 | 1588-2588 | SC제일은행 | 1588-1599 |
이상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많은 청년분들에게 힘이 되길 바라며~ 투둥이었습니다.
'정보 > 지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내일처축계좌의 신청 조건과 절차를 알아야 하는 이유 (0) | 2023.07.12 |
---|---|
청년희망적금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스마트한 방법 (0) | 2023.07.11 |